
* 본문에 언급된 종목은 투자 추천이 아니라 내용 설명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투자자가 직접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팔지 않는다면, 펀드에 가입하여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은 효율적인 투자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문가에게 위탁하는 만큼 합당한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데, 그 비용을 모르거나 알더라도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작은 비용의 차이가 10년 후에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꼼꼼하게 펀드의 비용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차이가 꽤 크죠?
당연히 펀드에 가입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고, 펀드명에 있는 여러 정보를 통해서도 수익과 관련한 정보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일회성 비용으로 딱 한 번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펀드 가입 시에 발생하는 ‘선취수수료’와 펀드 환매 시에 발생하는 ‘후취수수료’가 있습니다.





보수는 수수료와는 달리 매일매일 운용자금에 비례하여 계산되는 비용입니다. 실제로는 3개월마다 일할 계산하여 부과합니다.



각 펀드의 투자설명서에는 펀드의 클래스별 총보수를 동종유형 펀드의 총 보수와 함께 비교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습니다.

위의 예시를 보면, XX코리아대표펀드 A클래스의 총보수는 1.69%로 동종유형 총보수율 1.38%보다 약간 높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설명서에는 클래스별 비용 예시금액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dis.kofia.or.kr) 홈페이지 상단의 펀드공시 – 펀드보수 및 비용으로 들어가 보시면 4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이곳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모든 펀드의 보수 및 비용에 대해 검색, 비교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자산관리 및 금융 지식 향상을 목적으로 작성된 교육 콘텐츠입니다.
- 본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금융상품 및 시장 정보 등을 이용하여 투자를 했을 시 발생하는 손실의 귀책사유는 이용자에게 귀속되오니 투자는 이용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신중히 결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자산운용 결과에 따라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