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한국 시장만 바라보고 있니? 글로벌 투자를 해야만 하는 4가지 이유

동학개미에서 끝날 순 없다!
이제 ‘서학개미’가 되어보자!

점점 더 해외투자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같이 살펴볼까요?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약 2,240조 원의 규모로 급성장했습니다. (2021 4 27일 기준우리나라의 총 GDP 1,924조 원(2020년 한국은행 발표 기준)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죠.
 

그럼전 세계 주식시장의 규모는 어떻게 될까요?
전 세계 주식시장 규모는 약 11경 원 정도라고 합니다.
전 세계 주식시장 중에서 우리나라 증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죠.
글로벌 증시의 관점에서 본다면우리나라 KOSPI지수에 투자하는 건 결국 하나의 국가에 집중투자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말입니다.

그럼 전 세계에 투자하는 건 어떤 효과를 가져올까요?

마치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1개 종목에 투자하는 것과 KOSPI와 같은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것과 같다고나 할까요?

 

한국의 주력산업은 반도체산업조선산업석유화학산업자동차산업 등과 같은 장치산업입니다.

장치산업은 수요와 공급에 있어 공급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수요에 의해 가격이 급등락을 거듭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석유화학제품을 만드는 A라는 기업이 있습니다. 

이 석유화학제품을 만드는 기업은 1 365일 하루도 쉬지 않고 원유를 투입하여 각종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합니다이 제품들은 고객의 수요에 따라 산출량을 크게 변화시킬 수가 없습니다.
계속해서 일정한 공급량이 산출되기 때문에 수요가 줄어들게 되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되고 대신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 가격이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합니다.

 
이처럼 장치산업은 수요에 따라 공급을 늘렸다가 줄였다 하기가 매우 힘들지만진입장벽 또한 높아 경기 호황기에는 그 수익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을 이끄는 주요 산업들이 이런 장치산업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말은 수익의 편차가 큰 편이다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되겠죠?
 
또한 한국은 GDP 대비 무역 비율이 유난히 높은 나라입니다.

우리나라는 인구가 5,200만 명에 미치지 못하는 작은 규모이기 때문에 다른 인구 대국들과는 달리 내수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편이고수출 및 수입 즉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이런 성격으로 우리나라의 증시는
세계 경기등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입니다.

 

MSCI지수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날’이라는 회사에서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입니다.

MSCI지수는 전 세계 증시를 선진시장(Developed Market), 신흥시장(Emerging Market), 개척시장(Frontier Market)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하지만  개척시장은 규모가 작아 MSCI ACWI지수(All Countries World Index)에서는 제외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시장을 구분하는 것 외에도 MSCI지수는 각 지역별지수와 국가별 지수도 따로 있습니다.

미국일본주요 유럽국가들이 선진시장에 포함되어 있으며중국브라질중국인도를 비롯해 한국증시는 신흥시장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전체 시장 중 선진시장의 비중이 87% 정도이며신흥시장은 13%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입니다그런데 한국 시장이 속해 있는 신흥시장 지수(MSCI EM)내에서도 변화가 계속 일어나고 있습니다.
2021 2 MSCI 분기 리뷰에 따르면 신흥시장 지수에서 한국증시의 비중이 13.0%에서 12.9%로 줄어들었고 지속해서 중국증시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자금을 운용하는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국민연금공단입니다.
 
 834조 원의 어마어마한 자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1988~2020년까지의 연평균수익률은 6.27%에 이르는 세계적인 기금입니다그래서 국민연금기금의 포트폴리오를 가장 모범적인 모델 포트폴리오로 꼽을 수 있죠.

연기금의 2021년 목표 포트폴리오를 보면 국내주식의 비중은 16.8%인 반면 해외주식의
비중은 25.1%에 이릅니다.
국내주식의 1.5배 정도 되는 비중을 해외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서는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의 비중은 어느 정도인지 한 번 생각해보세요가장 모범적인 포트폴리오를 보이고 있는 연기금의 포트폴리오와 비슷한가요?

국민연금 중기자산배분 계획에 따르면 2025년 말에는 15%의 비중인 국내주식보다 보다 2배 가량 더 많은 35%정도의 비중만큼을 해외주식으로 편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해외주식의 비중을 점차 늘리겠다는 국민연금의 투자전략이 보이네요.

 
글로벌 투자가 정답은 아닙니다국내주식시장의 전망도 매우 밝은 편입니다.
하지만 앞에서 살펴보았던 이유들로 지수가 상승하는 동안 꽤 많은 흔들림과 지수의 등락 등으로 큰 변동성을 겪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전 세계에 투자하는 글로벌 분산투자를 통해
더 안정적인 투자생활을 이어 나가보는 건 어떨까요?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자산관리 및 금융 지식 향상을 목적으로 작성된 교육 콘텐츠입니다. 
 
- 본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금융상품 및 시장 정보 등을 이용하여 투자를 했을 시 발생하는 손실의 귀책사유는 이용자에게 귀속되오니 투자는 이용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신중히 결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자산운용 결과에 따라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에 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에 속합니다. 이용자는 투교협의 사전 동의없이 인용(발췌), 복제, 전송, 편집, 번역, 출판, 배포, 방송, 기타 방법에 의하여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무단으로 배포할 수 없습니다. 

 
회별별점

4.50

댓글작성

댓글입력
TOP